![]() |
양육쇼크 - ![]() 애쉴리 메리먼 외 지음, 이주혜 옮김/물푸레(창현) |
이들은 뉴욕의 스무 군데 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칭찬의 효과에 대해 연구해왔다. 초등학교 5학년생 4백 명을 대상으로 연속실험을 실시해 연구에 정확성을 기했다. 십년 가까이 지속된 연구의 결과는 놀라웠다.
칭찬의 효과는 우리가 생각했던 것처럼 아이들에게 자신감을 불어넣어 주지 못했던 것이다. 정확히 말해 단순한 지능에 대한 칭찬은 아이들을 더 깊은 수렁으로 몰고 가는 결과는 낳은 것이다. 이 책은 그 결과를 통해 부모들의 양육 방법을 뒤집는다.


추천사 문용린(전 교육부장관, 현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5
서문 입구에 캐리 그랜트가 서 있다. … 12
들어가며 왜 아동에 대한 우리의 직감은 자꾸만 빗나가는 것일까? … 15
01 칭찬의 역효과
이 아이는 특별하다. 그러나 새로운 연구 결과,
그 사실을 그대로 알리면 아이를 망치게 된다. 신경생물학이 밝혀낸 사실이다.
자신이 정말로 똑똑하다고 믿는 아이 … 24
지능을 칭찬하면 도전과 모험을 하지 않는다 … 28
자긍심을 높여주는 칭찬은 성적을 추락시킨다 … 32
지나친 칭찬은 아이들의 동기를 왜곡시킨다 … 38
칭찬 중독에서 벗어나라 … 44
02 잃어버린 시간
전 세계적으로 어린아이들은 20년 전보다 한 시간 덜 잔다.
그 결과 지능의 저하, 정서적 불안, ADHD(주의력 결핍증 과잉행동 장애)와
비만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수면 단축 한 시간의 영향 … 52
추천사 문용린(전 교육부장관, 현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 5
서문 입구에 캐리 그랜트가 서 있다. … 12
들어가며 왜 아동에 대한 우리의 직감은 자꾸만 빗나가는 것일까? … 15
01 칭찬의 역효과
이 아이는 특별하다. 그러나 새로운 연구 결과,
그 사실을 그대로 알리면 아이를 망치게 된다. 신경생물학이 밝혀낸 사실이다.
자신이 정말로 똑똑하다고 믿는 아이 … 24
지능을 칭찬하면 도전과 모험을 하지 않는다 … 28
자긍심을 높여주는 칭찬은 성적을 추락시킨다 … 32
지나친 칭찬은 아이들의 동기를 왜곡시킨다 … 38
칭찬 중독에서 벗어나라 … 44
02 잃어버린 시간
전 세계적으로 어린아이들은 20년 전보다 한 시간 덜 잔다.
그 결과 지능의 저하, 정서적 불안, ADHD(주의력 결핍증 과잉행동 장애)와
비만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수면 단축 한 시간의 영향 … 52
수면부족이 초래하는 끔찍한 결과 … 56
아이들에게 잠은 또 하나의 학습 시간이다 … 59
고등학교 등교시간을 1시간만 늦춰라 … 62
잠을 많이 자는 아이는 뚱뚱해지지 않는다 … 67
잠을 줄여서 얻는 대가는 생각보다 엄청나다 … 73
03 아이들은 왜 거짓말을 하는가?
다들 정직을 소중한 가치로 여기지만 연구결과는 보다 분명한 사실을 드러낸다.
정직을 장려하는 고전적인 전략은 대부분 아이들을
더욱 교묘한 거짓말쟁이로 만들고 있다.
아이들의 거짓말을 우리는 얼마나 알 수 있을까 … 78
아이들은 능숙한 거짓말쟁이 … 83
자랄수록 느는 거짓말 … 89
거짓말은 문제가 있다는 신호이다 … 92
진실이 가치 있는 것이라고 가르쳐줘라 … 95
아이들은 어른들에게 거짓말을 배운다 … 101
거짓말을 이끌어내는 것은 바로 부모 … 106
04 영재 유치원 지능생활 탐구
수백만 명의 아이들이 영재교육과 사립학교 입학을 위해 경쟁하고 있다.
입학담당자들은 이러한 선발이 하나의 기술이라고 말하지만
새로운 과학은 선발시기에 73퍼센트의 오류가 있다고 반박한다.
유치원 영재선발 중 73퍼센트가 오류를 범한다 … 114
한 번 영재가 영원한 영재는 아니다 … 118
영재판명은 적어도 11살 이후에 치러져야 한다 … 121
보충이 필요한 영재?! … 126
영재검사의 치명적인 한계 … 132
아이와 어른의 뇌구조는 다르다 … 137
대기만성형 아이들을 기다려야 한다 … 142
05 형제자매의 영향력
프로이드는 틀렸다. 셰익스피어가 옳았다.
형제자매가 싸우는 진짜 이유.
외동이 문제가 아니다 … 146
알 수 없는 형제자매의 싸움 … 149
형제자매와 재미있게 지내는 방법 … 154
동생을 좋아하는 건 왜 멋진 일이 아닐까 … 158
친구 관계를 보면 형제자매 관계를 예측할 수 있다 … 163
06 청소년기 반항에 관한 과학
청소년에게 어른들과의 논쟁은 왜 무례함이 아니라 존경의 표시일까?
왜 언쟁은 관계를 파괴하는 게 아니라 돈독히 해줄까?
청소년들은 얼마나 부모를 속일까 … 170
십대들이 하는 거짓말 12가지 … 175
십대들은 왜 더 지루해하는가 … 183
아이들에게 논쟁의 반대말은 거짓말이다? … 193
얼마나 많은 아이들이 논쟁은 파괴적이라고 배우고 있을까 … 200
07 자제심은 학습이 가능한가?
새로운 유아교육방법의 개발자들이 연구 장려금을 더 이상 받지 못하고 있다.
이 교육을 받은 아이들이 너무도 성공적이어서 ‘혹시 위험성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심화연구의 필요성이 없다고 한다. 대체 비결이 무엇일까?
청소년들의 교통사고는 일반인의 두 배다 … 206
교육만으로 대다수를 변화시키기는 어렵다 … 209
효과적인 ‘마음의 도구’ 프로그램 … 212
아이들은 놀면서 배운다 … 219
인지적 개발이 집중력을 키운다 … 227
자기제어 능력이 지능보다 더 중요하다 … 232
08 다른 아이들과 잘 놀기
왜 열성적인 요즘 부모들은 자녀를 천사로 키워내지 못하는 걸까?
<내 친구 아서>가 <파워레인저>보다 더 위험하다 … 238
왜 공격적인 아이들이 늘고 있을까 … 243
부모가 싸우고 화해하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 … 246
‘좋은’ 아이가 더 공격적이다 … 252
공격적인 아이들이 중심에 서 있다 … 256
교육적인 프로그램이 아이들을 더 공격적이게 만든다 … 262
일관되지 못한 양육태도가 과잉행동을 부른다 … 264
09 왜 한나는 말을 하는데 알리사는 못 하는 걸까?
과학자들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부모들은 여전히 아기의 언어능력을
높여주고 싶은 마음에 해마다 수십억 달러를 번지르르한 장비와 유아용 비디오에
쏟아 붓고 있다. 정말로 말을 잘 가르칠 수 있는 올바른 방법은 무엇일까?
유아용 비디오를 많이 볼수록 어휘력이 떨어진다 … 270
많은 말보다 부모의 반응이 중요하다 … 277
알리사와 한나의 차이는 무엇일까 … 282
엄마와의 상호작용으로부터 아기는 말을 배운다 … 287
지나친 자극은 오히려 해로울 수 있다 … 293
언어발달에 필요한 다섯 가지 기법 … 297
효과 만점인 율동말 … 302
언어습득 능력은 타고나는 것이다? … 306
10 왜 백인 부모들은 인종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지 않는 걸까?
인종과 피부색에 관한 교육은 아이들에게 유익할까, 해로울까?
백인 부모들은 자녀가 색맹이 되기를 원했다 … 312
아이들은 ‘우리집단’을 선호한다 … 320
다른 인종의 학생과 친구가 될 가능성은 8퍼센트에 불과하다 … 325
인종에 대한 편견과 자긍심 … 335
흑인 산타클로스와 백인 산타클로스 … 341
결론 초월적 특성에 대한 신화
왜 아이들은 부모님과 선생님에게 감사한 마음을 느끼지 못하는 것일까?
새로운 심리학인 긍정심리학이 출현했다 … 348
아이들이 감사하는 마음과 행복감을 느끼지 못하는 이유 … 355
아이들에 관한 두 가지 보물 같은 지혜 … 360
이 책이 나오기까지 … 365
해설 … 372
- 알라딘

- 알라딘

- 알라딘


“ABC, CNN, CBS, 뉴스위크, 뉴욕매가진, 월스트리트저널 특집”
왜 이 책은 지금까지 우리가 믿었던 사실들을 정면으로 부정하고 새로운 대안을 요구하는가?
우리는 지금까지 믿어왔던 진리에 대해서 다시 생각하고 의문을 품어야 할 때다. 그것을 요구하는 것은 여러 가지 꾸준한 양육에 대한 관심과 성실한 양육의 과정에도 불구하고 역효과를 내었던 많은 과학적인 연구사례들 때문이다. 우리는 다음과 같은 의문을 품을 수 있다.
요즘처럼 부모들이 자녀양육에 열심인 시대에 왜 이토록 많은 아이들이 공격적이고 잔인한 모습을 보이는 걸까? 두뇌에 숨어 있다는 지능은 과연 어디에 있으며 왜 중요할까?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는데 과연 그럴까? 98퍼센트의 아이들이 거짓말은 도덕적으로 옳지 않다고 대답했으면서 왜 98퍼센트의 아이들이 거짓말을 하고 있는 걸까? 청소년들에게 어른들과 언쟁은 왜 관계를 파괴하는 게 아니라 돈독하게 해 주는 걸까? 유아의 언어습득 정도를 높이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일까? 왜 대기업들이 ‘베이비 비디오’를 회수하고 환불해 줄까?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이 책의 두 저자 포 브론슨과 애쉴리 메리먼은 이 작업을 시작했다. 그래서 이 책이 갖는 의미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현실을 기초로 아주 섬세하고도 인내 있는 실험이 그것을 뒷받침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 대안들은 이 책을 읽으면 충분히 고개를 끄덕일 만큼 큰 설득력을 갖고 우리들을 움직이게 한다.
이 책은 사회를 변화시킬 만한 힘을 가지고 있다
포 브론슨과 애쉴리 메리맨은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작가이며 우리 시대의 자녀 양육법에 관한 획기적이고 영향력 있는 책들을 다수 집필해 왔다. 잡지 부문 최우수 기사상을 수상한 바 있는 이 두 저널리스트의 글에 담긴 힘과 혜안은〈뉴욕New York〉지에 기고한 ‘칭찬의 역효과The Inverse Power of Praise’라는 특집 기사 이후로 확연히 증명되어 왔다.
‘칭찬의 역효과’는 말 그대로 하루밤새 아이들을 대하는 부모들의 대화법에 변화를 몰고 왔다. 유치원과 학교에서는 교사들에게 그 기사를 연구 과제물로 삼게 하고 비즈니스 리더들은 그 내용을 토대로 고용인 보상 방법을 토론하기에 이르렀다. 수천 명의 블로거들이 그 기사를 실어 날랐고 법조계와 종교계 지도자들은 이 사회를 변화시키는 데 그 내용을 실제로 적용할 방법을 고심했다. 이 놀라운 사실은 이 책의 1장에 불과하다. 총 10장에 걸쳐 전개되는 아이들에 대한 획기적인 고찰은 두 작가의 놀라운 통찰력과 심도 깊은 견해를 보여준다. 단순한 추측이나 가설로 이루어진 이야기가 아닌 새로운 실험들과 현실에서 보여지는 수많은 의문들을 하나하나 짚어가며 진행된 실험에 대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책에서 묻는 여러 가지 질문들을 우리는 그냥 넘길 수 없는 것이다